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, 드디어 1960년생 분들이 만 65세가 되는 해입니다.
나이가 들수록 외출도 조심스럽고 교통비도 부담이 되죠.
그런데 알고 계셨나요?
경기도, 특히 과천시에 거주하신다면 교통비를 거의 ‘0원’ 수준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!
버스는 물론이고, 어떤 경우는 택시요금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혜택까지.
오늘은 65세 이상 어르신들께 꼭 필요한 교통비 지원 정책 3가지를 비교해서 알려드립니다.
✅1. 과천시민이라면 무조건! 《과천토리패스》
"버스요금 100% 환급받는 과천만의 특권"
지원대상 | 과천시에 주민등록이 된 만 65세 이상 어르신 |
지원내용 | 과천 시내·마을버스 요금 100% 환급 (1일 3회 → 2025년부터 무제한) |
환급방식 | 선충전 후 사용 → 3개월마다 현금 환급 |
지원한도 | 분기 최대 30만원 (연 120만원 한도) |
이용수단 | 과천 1~8번 마을버스, 시내버스 ※ 지하철은 G-PASS 카드 연계 시 사용 가능 |
신청방법 | 농협 방문 또는 ‘과천토리패스’ 홈페이지에서 카드 신청 및 충전 |
🟢 이건 꼭 기억하세요!
2025년부터 일반버스까지 확대되며, 정산도 3개월→2개월로 더 빨라집니다.
과천시민 어르신이라면 이 제도는 ‘반드시 챙겨야 할 필수 혜택’입니다.
✅2. 경기도민이라면 《G-PASS (지패스)》
"지하철·버스를 무료로! 65세 이상 경기도민 대상"
지원대상 | 경기도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 |
지원내용 | 수도권 버스(유료), 지하철(무료) 사용 가능 |
지원방식 | 우대용 교통카드 발급 후 충전해 사용 |
이용지역 | 수도권 전역 (신분당선, GTX 포함) |
신청처 | 경기도 내 농협 지점 방문해 ‘우대용 G-PASS 카드’ 발급 |
🟢 특징 요약
- 지하철은 무료, 버스는 요금 충전 방식
- 일반적인 서울 지하철 무임승차 외에도 경기도 권역에서 추가 혜택
- GTX·신분당선도 이용 가능한 게 가장 큰 장점!
✅3. 서울시민이라면 《중구 어르신 교통비 지원사업》
"버스뿐 아니라 택시요금까지 월 4만원 지원!"
지원대상 | 서울시 중구에 거주 중인 65세 이상 어르신 |
지원내용 | 버스 + 택시요금 월 최대 4만 원 환급 |
지급방식 | 우대용 교통카드로 사용 → 3개월마다 계좌로 현금 지급 |
이용가능 교통 | 수도권 시내버스·마을버스·M버스, 서울택시 |
정산시기 | 3월, 6월, 9월, 12월 말 분기별 정산 |
🟢 다른 구에는 없는 '택시비 지원'이 핵심!
서울 중구 어르신이라면 이동이 불편할 때도 택시를 안심하고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.
📌어떤 제도가 나에게 맞을까? 한눈에 비교
과천토리패스 | 과천 | 마을·시내버스, 지하철(G-PASS 연계) | 분기 30만 원, 연 120만 원 | 3개월마다 환급 |
G-PASS | 경기도 | 버스(유료), 지하철(무료) | - | 충전식 사용 |
중구 교통비 지원 | 서울 중구 | 버스 + 택시 | 월 4만 원, 연 48만 원 | 3개월마다 현금 지급 |
🙋♀️이런 분들은 꼭 신청하세요!
부모님이 과천에 거주하시면서 버스를 자주 타시는 분
→ 과천토리패스로 매달 전액 환급받기
경기도에 거주 중인 어르신으로 지하철을 주로 이용하시는 분
→ G-PASS로 무료 지하철 이용
서울 중구 거주 어르신이시고, 택시 이용도 잦은 경우
→ 중구 교통비 지원으로 월 4만 원 환급
📣 놓치지 마세요!
65세가 넘으면 무조건 혜택이 시작되는 게 아니라,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주민센터나 농협, 교통카드 발급처에 꼭 문의해보시고, 가족분들이 함께 도와드리는 것도 좋아요.
이 정보를 주변 어르신들께 꼭 알려주세요!
1년에 수십만 원이 절약되는 진짜 꿀팁입니다. 😊